드디어 2025 LPGA 시즌의 피날레가 다가왔습니다. 11월 20일부터 23일까지 플로리다 나폴리에서 열리는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은 단순한 대회가 아닙니다. 우승자에게 무려 400만 달러가 주어지는 여자골프 최고 상금 대회이자, 한 해 동안 최고의 성적을 거둔 60명만 출전할 수 있는 엘리트 무대입니다. 타이틀 디펜스를 노리는 태국의 지노 티티쿨부터 시즌 첫 승을 갈망하는 넬리 코르다까지, 세계 최정상 골퍼들의 치열한 승부가 펼쳐집니다.
LPGA 시즌 최종전 CME그룹 투어챔피언십 대회정보 - 출전선수 및 우승상금 400만 달러의 주인공은?
💰 여자골프 최고 상금 대회의 모든 것
솔직히 말해서 400만 달러라는 숫자가 실감이 나시나요? 한화로 약 56억 원입니다. 단 4일간의 경기로 이 엄청난 금액을 가져갈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죠.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은 2014년부터 시작됐는데, 처음엔 이 정도 규모는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2024년부터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어요. CME 그룹이 후원 규모를 대폭 늘리면서 총상금이 700만 달러에서 1,100만 달러로 껑충 뛰었거든요. 특히 우승 상금 400만 달러는 메이저 대회들과 비교해도 압도적입니다. US 여자오픈이 240만 달러, KPMG 챔피언십이 180만 달러인 걸 생각하면 정말 어마어마한 금액이죠.
이 대회의 특별한 점은 컷이 없다는 겁니다. 60명의 선수가 모두 4라운드를 치르고, 최종 합산 타수로 순위가 결정됩니다. 그러니까 첫날 컨디션이 안 좋아도 충분히 역전할 기회가 있다는 얘기예요. 실제로 작년 우승자 지노 티티쿨도 마지막 두 홀에서 이글과 버디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습니다.
📌 대회 기본 정보 한눈에 보기
🏌️ 대회명: CME Group Tour Championship 2025
📅 일정: 11월 20일(수) ~ 11월 23일(토) / 4일간
📍 개최지: Tiburon Golf Club, 나폴리, 플로리다
💵 총상금: 1,100만 달러 (약 154억 원)
🏆 우승상금: 400만 달러 (약 56억 원)
👥 출전 인원: 60명 (CME 포인트 상위 60위)
⛳ 경기 방식: 72홀 스트로크 플레이 (노컷)
🥇 지난 우승자: 지노 티티쿨 (태국, -22)
🎫 누가 출전할 수 있을까? 치열했던 60위 쟁탈전
이 대회에 나가려면 딱 하나의 조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바로 CME 글로브 포인트 랭킹 60위 안에 드는 것이죠. 더 아니카 드리븐 바이 게인브리지 대회가 끝난 시점에서 상위 60명이 확정됩니다.
올해 특히 치열했던 건 60위 근처였어요. 윤이나 선수가 63위로 아쉽게 탈락했는데, 마지막 대회까지 출전권을 놓고 정말 박빙의 승부가 벌어졌습니다. 한두 순위 차이로 1년 내내 쌓아온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여기서 중요한 건 월요일 예선이나 얼터네이트 같은 게 전혀 없다는 겁니다. 오직 CME 포인트로만 결정되기 때문에 시즌 내내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야 합니다. 한두 번 우승한다고 되는 게 아니라 매주 TOP 10 안에 들어야 포인트가 쌓이거든요.
📋 전체 출전 선수 명단 (60명)
| 순위 | 선수명 | 국가 | 포인트 | 우승 | TOP 10 |
|---|---|---|---|---|---|
| 1 | Jeeno Thitikul | 태국 | 3,566.95 | 2 | 13 |
| 2 | Miyu Yamashita | 일본 | 2,772.26 | 2 | 12 |
| 3 | Minjee Lee | 호주 | 2,639.96 | 1 | 8 |
| 4 | Rio Takeda | 일본 | 1,998.86 | 1 | 8 |
| 5 | 김효주 (Hyo Joo Kim) | 🇰🇷 | 1,859.96 | 1 | 7 |
| 6 | 최혜진 (Hye-Jin Choi) | 🇰🇷 | 1,812.34 | 0 | 9 |
| 7 | 김세영 (Sei Young Kim) | 🇰🇷 | 1,798.20 | 1 | 9 |
| 8 | 김아림 (A Lim Kim) | 🇰🇷 | 1,752.28 | 1 | 9 |
| 9 | Nelly Korda | 미국 | 1,727.19 | 0 | 8 |
| 10 | 이소미 (Somi Lee) | 🇰🇷 | 1,702.64 | 1 | 7 |
| 11 | Mao Saigo | 일본 | 1,682.00 | 1 | 6 |
| 12 | Nasa Hataoka | 일본 | 1,673.62 | 1 | 7 |
| 13 | Akie Iwai | 일본 | 1,646.09 | 1 | 7 |
| 14 | Charley Hull | 영국 | 1,566.27 | 1 | 4 |
| 15 | Chisato Iwai | 일본 | 1,528.95 | 1 | 5 |
| 16 | 임진희 (Jin Hee Im) | 🇰🇷 | 1,440.88 | 1 | 5 |
| 17 | Angel Yin | 미국 | 1,440.42 | 1 | 6 |
| 18 | Minami Katsu | 일본 | 1,415.83 | 0 | 6 |
| 19 | Celine Boutier | 프랑스 | 1,388.59 | 0 | 5 |
| 20 | Jennifer Kupcho | 미국 | 1,360.10 | 1 | 3 |
| 21 | Linn Grant | 스웨덴 | 1,327.50 | 1 | 5 |
| 22 | 류해란 (Haeran Ryu) | 🇰🇷 | 1,281.74 | 1 | 4 |
| 23 | Andrea Lee | 미국 | 1,247.03 | 0 | 6 |
| 24 | Yealimi Noh | 미국 | 1,227.85 | 1 | 5 |
| 25 | Ayaka Furue | 일본 | 1,207.23 | 0 | 5 |
| 26 | Lydia Ko | 뉴질랜드 | 1,204.29 | 1 | 5 |
| 27 | Carlota Ciganda | 스페인 | 1,159.13 | 1 | 5 |
| 28 | Lindy Duncan | 미국 | 1,136.02 | 0 | 6 |
| 29 | Grace Kim | 호주 | 1,128.95 | 1 | 4 |
| 30 | Brooke M. Henderson | 캐나다 | 1,118.56 | 1 | 2 |
| 31 | Lauren Coughlin | 미국 | 1,094.58 | 0 | 5 |
| 32 | Ariya Jutanugarn | 태국 | 1,062.49 | 0 | 6 |
| 33 | Megan Khang | 미국 | 1,047.15 | 0 | 5 |
| 34 | Ruoning Yin | 중국 | 1,043.11 | 0 | 3 |
| 35 | Auston Kim | 미국 | 1,025.97 | 0 | 4 |
| 36 | Miranda Wang | 중국 | 999.43 | 1 | 3 |
| 37 | 고진영 (Jin Young Ko) | 🇰🇷 | 987.53 | 0 | 4 |
| 38 | Gaby Lopez | 멕시코 | 984.83 | 0 | 6 |
| 39 | Hannah Green | 호주 | 969.30 | 0 | 5 |
| 40 | Maja Stark | 스웨덴 | 960.85 | 1 | 3 |
| 41 | Esther Henseleit | 독일 | 959.40 | 0 | 2 |
| 42 | Lottie Woad | 영국 | 934.67 | 1 | 4 |
| 43 | Nanna Koerstz Madsen | 덴마크 | 838.68 | 0 | 4 |
| 44 | Chanettee Wannasaen | 태국 | 824.46 | 0 | 3 |
| 45 | Stephanie Kyriacou | 호주 | 812.16 | 0 | 5 |
| 46 | Sarah Schmelzel | 미국 | 759.63 | 0 | 3 |
| 47 | Madelene Sagstrom | 스웨덴 | 727.85 | 1 | 1 |
| 48 | Jenny Bae | 미국 | 718.89 | 0 | 3 |
| 49 | Allisen Corpuz | 미국 | 696.28 | 0 | 2 |
| 50 | Ingrid Lindblad | 스웨덴 | 678.63 | 1 | 1 |
| 51 | 이미향 (Mi Hyang Lee) | 🇰🇷 | 674.25 | 0 | 3 |
| 52 | Lexi Thompson | 미국 | 601.73 | 0 | 2 |
| 53 | Manon De Roey | 벨기에 | 587.96 | 0 | 3 |
| 54 | Yan Liu | 중국 | 587.55 | 0 | 3 |
| 55 | Patty Tavatanakit | 태국 | 582.88 | 0 | 2 |
| 56 | Leona Maguire | 아일랜드 | 544.76 | 0 | 2 |
| 57 | Nataliya Guseva | 무국적 | 544.53 | 0 | 3 |
| 58 | Lucy Li | 미국 | 536.68 | 0 | 2 |
| 59 | Brooke Matthews | 미국 | 535.43 | 0 | 2 |
| 60 | Pajaree Anannarukarn | 태국 | 518.75 | 0 | 1 |
🏆 2025 시즌을 빛낸 우승자들
2025 시즌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첫 26개 대회에서 26명의 다른 우승자가 나왔거든요. LPGA 역사상 최장 기록이에요. 그만큼 경쟁이 치열했다는 뜻이죠. 그 기록을 깬 사람이 바로 지노 티티쿨입니다.
⭐ 복수 우승자는 단 두 명
시즌 전체를 통틀어 2승 이상 거둔 선수가 딱 두 명입니다. 지노 티티쿨과 미유 야마시타예요. 티티쿨은 5월 미즈호 아메리카스 오픈과 10월 뷰익 상하이에서 우승했고, 야마시타는 AIG 여자 오픈(메이저!)과 메이뱅크 챔피언십을 가져갔습니다.
🌸 일본 골프의 무서운 성장
올해 일본 선수들 정말 대단했어요. 무려 6명이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미유 야마시타(메이저 포함 2승), 리오 타케다, 마오 사이고(메이저), 아키에 이와이, 치사토 이와이, 나사 하타오카까지. 특히 상위 10위 안에 일본 선수가 6명이나 들어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 한국 골프의 저력
일본도 대단하지만 한국도 만만치 않습니다. 상위 60명 중 9명이 한국 선수고, 특히 TOP 10에 5명이나 포진해 있어요. 김효주(5위), 최혜진(6위), 김세영(7위), 김아림(8위), 이소미(10위)가 그 주인공들입니다.
김효주는 3월 포드 챔피언십에서, 김세영은 10월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 김아림은 시즌 개막전에서, 이소미는 6월 다우 챔피언십에서 각각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최혜진은 우승은 없었지만 TOP 10을 9회나 기록하며 놀라운 안정성을 보여줬고요.
🌟 메이저 챔피언들
메이저 대회 우승자들도 당연히 이번 대회에 출전합니다. 마오 사이고(셰브론), 마야 스타르크(US 여자오픈), 민지 리(KPMG), 그레이스 김(에비앙), 미유 야마시타(AIG 오픈)가 바로 그들이죠. 메이저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은 큰 무대에서 압박을 견뎌낸 경험이 있다는 걸 의미하니까, CME 챔피언십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들입니다.
💎 숨은 강자들
우승은 못했지만 시즌 내내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낸 선수들도 주목해야 합니다. 최혜진(TOP 10 9회), 넬리 코르다(TOP 10 8회), 민지 리(TOP 10 8회) 같은 선수들이죠. 이들은 우승 하나 없이도 상위권에 랭크될 만큼 매주 좋은 골프를 보여줬습니다.
🎯 우승 후보 집중 분석
👑 지노 티티쿨 - 압도적 1위, 타이틀 방어 도전
솔직히 지금 가장 뜨거운 선수는 단연 지노 티티쿨입니다. 22살이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성숙한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어요. CME 포인트 3,566점으로 2위와 800점 가까이 차이나는 압도적인 1위구요.
올 시즌 2승을 거뒀는데, 특히 상하이 대회가 인상적이었습니다. 5홀 연장 플레이오프 끝에 우승했거든요. 그것도 4타 뒤진 상황에서 마지막 5홀을 5언더로 돌며 극적으로 따라잡았어요. 이런 걸 보면 멘탈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죠.
작년에도 이 대회에서 우승했는데, 마지막 두 홀에서 이글-버디로 22언더파를 만들어냈습니다. 그리고 400만 달러를 가져갔죠. 배팅 오즈도 6대1로 가장 낮고요.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자신감도 충만할 겁니다.
😢 넬리 코르다 - 무승의 아픔, 반전의 기회
작년에 7승을 휩쓸며 LPGA 올해의 선수가 됐던 넬리 코르다. 그런데 올해는 단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습니다. 정말 의외죠? 시즌 개막전에서는 2타 차 준우승, US 여자오픈에서도 2타 차 공동 2위에 머물렀어요.
그런데 통계를 보면 실력이 떨어진 건 전혀 아닙니다. 스트록스 게인드 전체 3위, 티샷은 아예 1위예요. 그냥 마지막 순간에 운이 안 따라준 거죠. 18개 대회에서 TOP 10을 8회나 기록했으니까요.
여기 티뷰론 골프 클럽이 코르다한테는 특별한 곳입니다. 지난 4년 중 3번을 우승했거든요. 코스와의 궁합이 정말 좋아요. 시즌 마지막 대회에서 첫 승을 따낸다면, 이것만큼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또 있을까요? 배팅 오즈는 10대1입니다.
🎌 미유 야마시타 - 메이저 챔피언의 품격
일본의 미유 야마시타도 올해 2승을 거뒀습니다. 그것도 그 중 하나가 AIG 여자 오픈이라는 메이저 대회예요. 8월에 메이저 우승, 10월에 메이뱅크 챔피언십 우승으로 시즌을 마무리하는 중입니다.
24개 대회에 출전해서 TOP 10을 12회 기록했어요. 거의 2경기 중 1경기는 TOP 10에 들었다는 얘기죠. CME 포인트 2위(2,772점)로 티티쿨 다음입니다. 메이저 챔피언이라는 경험이 큰 무대에서 큰 힘이 될 겁니다.
🦘 민지 리 - 검증된 메이저 챔피언
호주의 민지 리는 6월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통산 3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이미 메이저 3승을 거둔 검증된 챔피언이에요. CME 포인트 3위(2,639점)로 시즌을 보내고 있고요.
21개 대회에서 TOP 10을 8회 기록했는데, 큰 무대에 강한 선수로 유명합니다. CME 챔피언십처럼 고액 상금이 걸린 프레셔 상황에서 오히려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타입이죠.
⚡ 다크호스들
샤를리 헐 (영국, 14위): 14개 대회만 출전했는데도 1승에 TOP 10 4회를 기록했어요. 배팅 오즈 14대1로 다크호스 취급받고 있지만, 적은 출전에도 상위권에 랭크된 건 그만큼 기량이 뛰어나다는 증거입니다.
한국 선수들: 김효주(5위), 김세영(7위), 김아림(8위) 같은 경험 많은 선수들과 최혜진(6위), 이소미(10위) 같은 젊은 선수들도 충분히 우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김효주는 베테랑의 경험으로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어요.
리오 타케다 (일본, 4위): 29개 대회에 출전하며 왕성한 활동량을 보여준 선수입니다. 시즌 1승에 TOP 10 8회로 안정적이에요.
📸 2025 시즌, 이런 일들이 있었습니다
🎪 26개 대회, 26명의 우승자
이게 정말 놀라운 기록입니다. 시즌 첫 26개 대회에서 단 한 명도 복수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어요. LPGA 역사상 최장 기록이에요. 매주 다른 선수가 우승하니까 예측이 불가능했죠. "이번 주는 누가 이길까?" 싶으면 또 새로운 얼굴이 나타나는 식이었습니다.
이 기록을 깬 게 바로 지노 티티쿨이에요. 10월 상하이 대회에서 시즌 2승째를 따내면서 첫 복수 우승자가 됐습니다. 이후 미유 야마시타도 2승을 추가하면서 최종적으로 두 명만 2승 이상을 거뒀네요.
💴 일본 골프의 폭발
올해 정말 인상 깊었던 건 일본 선수들의 활약이었습니다. 무려 6명이 우승을 차지했거든요. 그것도 그중 2개가 메이저 대회예요. 마오 사이고의 셰브론 챔피언십, 미유 야마시타의 AIG 여자 오픈까지.
CME 포인트 상위 10위 안에 일본 선수가 6명이나 들어있어요. 리오 타케다(4위), 마오 사이고(11위), 나사 하타오카(12위), 아키에 이와이(13위), 치사토 이와이(15위)까지. 일본 여자골프가 정말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 한 해였습니다.
💸 사상 최고의 상금 규모
2025 시즌 LPGA 투어 총상금이 1억 3,100만 달러(약 1,834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여자골프 역사상 최고액이에요. 33개 공식 대회가 열렸고, 여자골프의 상업적 가치가 급상승했다는 걸 보여줍니다.
CME 챔피언십의 우승 상금 400만 달러만 봐도 알 수 있죠. 이건 남자골프 메이저 대회 수준이에요. 여자골프에 대한 인식이 정말 많이 바뀌었다는 증거입니다.
🏅 메이저 대회 결과
올해 5개 메이저 대회의 우승자들을 보면 정말 다양합니다.
• 셰브론 챔피언십: 마오 사이고 (일본)
• US 여자오픈: 마야 스타르크 (스웨덴)
•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민지 리 (호주)
• 에비앙 챔피언십: 그레이스 김 (호주)
• AIG 여자 오픈: 미유 야마시타 (일본)
일본 2개, 호주 2개, 스웨덴 1개. 여자골프가 정말 글로벌해졌다는 걸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 가장 드라마틱했던 순간들
지노 티티쿨의 상하이 대회 5홀 연장 우승이 정말 극적이었어요. 4타 뒤진 상황에서 마지막 5홀을 5언더로 돌며 따라잡았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압박을 이겨내고 승리했죠.
넬리 코르다의 무승 시즌도 하나의 드라마였습니다. 작년 7승의 주인공이 올해는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으니까요. 그래도 여전히 세계 상위권 실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대단합니다.
🔮 개인적인 우승 예상 (feat. 배팅 오즈)
🥇 1순위: 지노 티티쿨 (배팅 오즈 6:1)
솔직히 티티쿨을 빼고 얘기하기 어렵습니다. 디펜딩 챔피언에 시즌 최강자, 거기다 작년에 이 코스에서 22언더파로 우승했잖아요. CME 포인트도 압도적 1위고요. 모든 조건이 완벽합니다.
특히 멘탈이 강해요. 상하이 대회에서 4타 뒤진 상황을 극적으로 뒤집은 걸 보면 압박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죠. 400만 달러라는 엄청난 금액이 걸려있어도 평정심을 유지할 겁니다.
🥈 2순위: 넬리 코르다 (배팅 오즈 10:1)
무승이라는 게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저는 오히려 폭발할 타이밍이라고 봅니다. 티뷰론 골프 클럽에서 4년 중 3번 우승했다는 건 우연이 아니에요. 코스와의 궁합이 정말 좋습니다.
통계적으로는 여전히 최상위권이고, 다만 운이 안 따라줬을 뿐이에요. 시즌 마지막 대회에서 첫 승을 따낸다면? 이것만큼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또 있을까요?
🥉 3순위: 메이저 챔피언들 (민지 리, 미유 야마시타)
큰 무대 경험이 있는 선수들은 절대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민지 리는 이미 메이저 3승을 거둔 검증된 챔피언이고, 미유 야마시타는 올해 메이저 우승의 기억이 생생해요. 고액 상금이 걸린 프레셔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할 겁니다.
🎲 다크호스: 한국 선수들
개인적으로 김효주 선수가 재미있을 것 같아요. 베테랑의 경험과 포드 챔피언십 우승의 자신감이 있으니까요. 김세영도 한국에서 우승한 여세를 몰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고요.
최혜진은 아직 우승은 없지만 TOP 10을 9회나 기록한 안정감이 있습니다. 첫 우승이 이 무대에서 나온다면 정말 멋질 것 같네요.
💭 결론
솔직하게 말하면 티티쿨이 가장 유력하지만, LPGA는 정말 예측이 안 됩니다. 올해만 봐도 26개 대회 연속 다른 우승자가 나왔잖아요. 그래서 더 재밌는 거죠. 11월 20일부터 23일까지, 누가 400만 달러의 주인공이 될지 정말 기대됩니다!
💬 궁금하실 만한 것들
Q. 상금이 왜 이렇게 많은가요?
CME 그룹이라는 대기업이 여자골프 발전을 위해 엄청난 후원을 하고 있어요. 한 해 동안 최고의 성적을 거둔 60명만 출전하는 프리미엄 대회라는 특별한 위상도 있고요. 우승 상금 400만 달러는 남자골프 메이저 수준인데, 이게 여자골프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작년 지노 티티쿨은 4일 경기로 약 56억 원을 가져갔어요. 믿기지 않죠?
Q. 올해 시즌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개인적으로는 26개 대회 연속 다른 우승자가 나온 게 제일 놀라웠어요. 이게 얼마나 대단한 건지 아시나요? LPGA 역사상 최장 기록입니다. 어떤 선수도 쉽게 우승할 수 없을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는 뜻이죠. 그리고 지노 티티쿨의 상하이 대회 5홀 연장 우승도 정말 드라마틱했습니다. 4타 뒤진 상황에서 극적으로 뒤집었거든요.
Q. 한국 선수 중 누가 우승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제 생각엔 김효주 선수가 가장 가능성 높아 보입니다. 베테랑 경험에 3월 포드 챔피언십 우승의 자신감도 있고요. 17개 대회에서 TOP 10을 7번이나 했으니 컨디션도 좋아요. 김세영도 한국에서 열린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우승의 기세를 이어갈 수 있고, 김아림은 시즌 개막전 우승자라서 큰 무대 경험이 풍부합니다. 최혜진은 아직 우승은 없지만 TOP 10을 9번이나 했으니 첫 우승이 이 무대에서 나올 수도 있어요.
Q. 티뷰론 골프 클럽은 어떤 코스인가요?
플로리다 나폴리의 리츠칼튼 리조트 안에 있는 코스예요. 그렉 노먼이 설계했고요. 플로리다 특유의 따뜻한 날씨에 평탄한 지형이지만,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정교한 아이언 샷이 필수적입니다. 전략적인 샷 배치가 중요한 코스로 알려져 있어요. 넬리 코르다가 유독 이 코스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왔는데, 4년 중 3번을 우승했을 정도니까요.
Q. 경기는 어떻게 볼 수 있나요?
한국에서는 JTBC골프 채널에서 생중계로 볼 수 있습니다. 11월 20일(수)부터 23일(토)까지 4일간 진행되는데, 한국 시간으로는 새벽~오전 시간대에 경기가 있어요. LPGA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하이라이트를 볼 수 있고, LPGA 한국 공식 사이트에서도 영상과 뉴스를 제공합니다. 실시간으로 못 봐도 하이라이트로라도 꼭 보세요. 400만 달러가 걸린 최후의 승부니까요!
🎬 마치며
2025 시즌 정말 재밌었죠? 26개 대회 연속 다른 우승자가 나오는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고, 일본 선수들이 6번이나 우승하는 놀라운 모습도 봤습니다. 한국 선수들도 상위 10위에 5명이나 들어가면서 여전히 강세를 보여줬고요.
이제 모든 게 CME 챔피언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지노 티티쿨의 타이틀 방어냐, 넬리 코르다의 극적인 시즌 첫 승이냐, 아니면 전혀 예상치 못한 다크호스의 등장이냐. 400만 달러라는 엄청난 상금도 상금이지만, 한 해의 모든 노력이 결실을 맺는 순간이 더 중요하겠죠.
11월 20일부터 23일까지, 플로리다 나폴리 티뷰론 골프 클럽에서 펼쳐질 여자골프 최고의 축제. 60명의 최정예 골퍼들이 4일간 펼치는 최후의 격돌. 정말 기대됩니다. 여러분은 누가 우승할 것 같나요?
새벽이지만 꼭 챙겨보세요. 1년에 한 번뿐인 이 특별한 순간을 놓치면 정말 아까울 겁니다. 그럼 대회에서 만나요! ⛳
🏷️ 관련 태그
#CME챔피언십 #LPGA최종전 #지노티티쿨 #넬리코르다무승 #400만달러 #여자골프최고상금 #티뷰론골프클럽 #한국선수11명 #LPGA시즌피날레 #골프
.webp?raw=true)


.webp?raw=true)
댓글 쓰기